고혈압은 특별한 증상 없이 시작되는 특징을 가지며, 소리 없이 찾아온다고 해서 소리 없는 살인자, 침묵의 살인자라고도 하는 질병입니다. 지금부터 정상 혈압 수치, 고혈압의 증상, 치료, 예방법 및 혈압 낮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정상 혈압 수치
혈압은 혈액이 혈관을 통과할 때 혈관벽에 가하는 압력입니다. 일반적으로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으로 나누어집니다.
- 수축기 혈압 (상압) : 심장이 수축할 때의 압력
- 이완기 혈압 (하압) : 심장이 이완할 때의 압력
세계보건기구(WHO)와 미국심장협회(AHA)에 따르면 정상 혈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수축기 혈압 : 120 mmHg 이하
- 이완기 혈압 : 80 mmHg 이하
출처: "Hypertension Guidelines"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"2017 Guideline for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" by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/American Heart Association.
나이별 정상 혈압 범위
나이에 따라 정상 혈압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나이별 혈압 정상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:
나이별 세대별 구분 | 수축기 혈압 (상압) | 이완기 혈압 (하압) |
청소년 (13~19세) | 105-120 mmHg | 70-80 mmHg |
성인 (20~40세) | 110-130 mmHg | 75-85 mmHg |
중년 (40~60세) | 115-135 mmHg | 75-85 mmHg |
노년 (60세 이상) | 120-140 mmHg | 80-90 mmHg |
출처: "Age-specific reference ranges of blood pressure" by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.
저혈압 수치
저혈압은 혈압이 너무 낮은 상태를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수치가 저혈압으로 간주됩니다:
- 수축기 혈압: 90 mmHg 이하
- 이완기 혈압: 60 mmHg 이하
출처: "Hypotension" by National Heart, Lung, and Blood Institute.
저혈압과 고혈압의 증상 차이
구분 | 저혈압 | 고혈압 |
증상 | 호흡곤란, 창백, 어지러움, 두통, 피로감, 피부의 차고 축축함, 가슴의 답답함, 미열, 맥의 불규칙함, 메스꺼움, 구토, 정신 집중의 어려움, 흐린 시력, 목마름, 실신 | 두통, 어지러움, 흉통(가슴 두근거림), 호흡 곤란, 심계항진, 피부 긴장도 저하 |
혈압 낮추는 법
고혈압을 관리하고 혈압을 낮추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권장, 추천합니다:
- 규칙적인 운동 : 걷기, 조깅,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주 3-5회, 매 회 30분 이상 실시합니다.
- 건강한 식습관 : 저염식, 고섬유질 식품, 과일과 채소, 저지방 유제품 섭취를 권장합니다.
- 체중 관리 : 적정 체중을 유지하여 심혈관계 부담을 줄입니다.
- 스트레스 관리 : 요가, 명상, 심호흡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.
- 금연 및 절주 : 담배를 끊고, 음주를 줄이거나 삼갑니다.
- 정기적인 혈압 측정 : 가정에서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, 기록하여 변화를 확인합니다.

혈압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
고혈압 치료 약물
- 이뇨제: Hydrochlorothiazide, Furosemide
- 베타 차단제: Atenolol, Metoprolol
- 칼슘 통로 차단제: Amlodipine, Diltiazem
- ACE 억제제: Enalapril, Lisinopril
-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: Losartan, Valsartan
저혈압 치료 약물
- 미도드린 (Midodrine):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약물
- 플루드로코티손 (Fludrocortisone): 체내 나트륨 보유를 증가시켜 혈압을 높이는 약물
출처: "Hypertension and Hypotension Treatment"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.

마치며...
고혈압은 성인들만의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요즘은 실제로 초등학생도 고혈압에 걸린다고 합니다.
소아청소년들의 고혈압 발병률은 1~3% 정도로 낮지만, 안 좋은 식습관이나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,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점차적 소아천소년들의 고혈압 발병률이 늘어가고 있다고 합니다.
여러분 꾸준한 운동과 금연, 금주, 건강한 식습관으로 밝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보아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