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자성어는 짧은 단어로 강한 의미를 전달할 때 주로 하는 표현으로, 오래전부터 한국인들에게 자주 쓰여 왔습니다. 이 글에서는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사자성어의 정의와 뜻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유유상종 (類類相從)
정의: 같은 무리끼리 서로 왕래한다는 뜻입니다.
뜻: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인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유유상종, 끼리끼리 잘 어울린다."
역지사지 (易地思之)
정의: 처지를 바꾸어 생각한다는 뜻입니다.
뜻: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상대방을 이해하려 노력해야 한다."
구사일생 (九死一生)
정의: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입니다.
뜻: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간신히 살아남음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구사일생으로 위험한 상황에서 탈출했다."
동병상련 (同病相憐)
정의: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끼리 서로 불쌍히 여긴다는 뜻입니다.
뜻: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를 동정하고 이해한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동병상련의 심정으로 그들은 서로를 위로했다."
자승자박 (自繩自縛)
정의: 스스로 줄을 묶어 자기를 묶는다는 뜻입니다.
뜻: 자신의 말과 행동으로 인해 자신이 곤란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거짓말은 결국 자승자박이 되어 돌아왔다."
가렴주구 (苛斂誅求)
정의: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고, 물건을 빼앗는다는 뜻입니다.
뜻: 백성을 괴롭히고 재물을 착취하는 악정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시기의 정치는 가렴주구로 백성들을 괴롭혔다."
수불석권 (手不釋卷)
정의: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입니다.
뜻: 학문을 열심히 한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언제나 수불석권하며 공부에 열중했다."
군계일학 (群鷄一鶴)
정의: 닭 무리 속의 한 마리 학이라는 뜻입니다.
뜻: 많은 사람 중에 뛰어난 한 사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군계일학으로서 모든 사람의 주목을 받았다."
일석이조 (一石二鳥)
정의: 한 개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뜻입니다.
뜻: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그 방법을 사용하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."
양두구육 (羊頭狗肉)
정의: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입니다.
뜻: 겉과 속이 다름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행동은 양두구육으로 신뢰를 잃었다."
오리무중 (五里霧中)
정의: 오 리나 되는 짙은 안갯속에 있다는 뜻입니다.
뜻: 무슨 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사건은 오리무중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어려웠다."
파죽지세 (破竹之勢)
정의: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입니다.
뜻: 거침없이 적을 물리치고 진격하는 기세를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들의 공격은 파죽지세로 이어졌다."
삼십육계 (三十六計)
정의: 서른여섯 가지 계책이라는 뜻입니다.
뜻: 다양한 계략이나 책략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삼십육계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."
불편부당 (不偏不黨)
정의: 치우치지도 당파를 짓지도 않는다는 뜻입니다.
뜻: 공정하고 올바름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불편부당한 자세로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다."
기상천외 (奇想天外)
정의: 기이한 생각이 하늘 밖에 있다는 뜻입니다.
뜻: 매우 기발하고 엉뚱한 생각이나 발상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아이디어는 기상천외해서 모두를 놀라게 했다."
마이동풍 (馬耳東風)
정의: 말의 귀에 부는 동풍이라는 뜻입니다.
뜻: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마이동풍으로 주변의 충고를 무시했다."
문전성시 (門前成市)
정의: 대문 앞이 시장을 이룬다는 뜻입니다.
뜻: 방문객이 많아 집 앞이 붐빔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집은 문전성시를 이뤄 언제나 사람들이 가득했다."
천고마비 (天高馬肥)
정의: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입니다.
뜻: 가을이 되어 좋은 시절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천고마비의 계절, 풍성한 수확을 기대해 본다."
우왕좌왕 (右往左往)
정의: 오른쪽으로 갔다 왼쪽으로 갔다 한다는 뜻입니다.
뜻: 갈피를 잡지 못하고 이리저리 헤맴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들은 우왕좌왕하며 상황을 해결하지 못했다."
명실상부 (名實相符)
정의: 이름과 실상이 서로 부합한다는 뜻입니다.
뜻: 명성과 실력이 서로 일치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명실상부한 최고의 선수로 인정받았다."
자포자기 (自暴自棄)
정의: 스스로를 해치고 버린다는 뜻입니다.
뜻: 스스로 포기하고 자책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실망해서 자포자기 상태에 빠졌다."
조삼모사 (朝三暮四)
정의: 아침에 세 개, 저녁에 네 개라는 뜻입니다.
뜻: 간사한 꾀를 써서 남을 속임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말은 조삼모사로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했다."
혼정신성 (昏定晨省)
정의: 저녁에 부모님 잠자리를 정해드리고 아침에 부모님 안부를 여쭙는다는 뜻입니다.
뜻: 부모님을 잘 모시고자 하는 효성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혼정신성의 마음으로 부모님을 모셨다."
진퇴양난 (進退兩難)
정의: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상황이라는 뜻입니다.
뜻: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상황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진퇴양난에 빠져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."
호가호위 (狐假虎威)
정의: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린다는 뜻입니다.
뜻: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호가호위하여 사람들을 위협했다."
권선징악 (勸善懲惡)
정의: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한다는 뜻입니다.
뜻: 착한 행실을 장려하고 악한 행실을 벌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이야기는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고 있다."
이심전심 (以心傳心)
정의: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다는 뜻입니다.
뜻: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들은 오랜 친구라 이심전심으로 통했다."
백전백승 (百戰百勝)
정의: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는 뜻입니다.
뜻: 모든 전투에서 승리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장군은 백전백승의 전설을 남겼다."
청천벽력 (靑天霹靂)
정의: 맑은 하늘에 벼락이 친다는 뜻입니다.
뜻: 예상치 못한 큰 사건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소식은 청천벽력처럼 다가왔다."
노심초사 (勞心焦思)
정의: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생각을 태운다는 뜻입니다.
뜻: 몹시 마음을 졸이며 걱정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자식 걱정에 노심초사했다."
기진맥진 (氣盡脈盡)
정의: 기운이 다하고 맥이 끊어진다는 뜻입니다.
뜻: 기운이 다하여 매우 지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운동 후에 기진맥진하여 쓰러졌다."
각주구검 (刻舟求劍)
정의: 배에 새겨 칼을 찾는다는 뜻입니다.
뜻: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방식은 각주구검처럼 낡았다."
고진감래 (苦盡甘來)
정의: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입니다.
뜻: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의미입니다.
사용 예시: "고진감래라더니, 그의 노력은 결국 결실을 맺었다."
백년해로 (百年偕老)
정의: 백 년을 함께 늙는다는 뜻입니다.
뜻: 부부가 함께 오랫동안 살아감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부부는 백년해로하며 행복하게 살았다."
무궁무진 (無窮無盡)
정의: 끝도 없고 다함도 없다는 뜻입니다.
뜻: 매우 많거나 끝이 없음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창의력은 무궁무진하다."
지록위마 (指鹿爲馬)
정의: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는 뜻입니다.
뜻: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력을 장악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권력 남용은 지록위마의 대표적인 사례다."
적반하장 (賊反荷杖)
정의: 도둑이 오히려 몽둥이를 든다는 뜻입니다.
뜻: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의 적반하장에 모두가 어이없어했다."
불가사의 (不可思議)
정의: 생각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.
뜻: 매우 놀랍고 신비로움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 사건은 불가사의한 일로 남아있다."
오매불망 (寤寐不忘)
정의: 잠을 자도 깨어도 잊지 못한다는 뜻입니다.
뜻: 한 가지 일에 대해 항상 생각함을 의미합니다.
사용 예시: "그는 그녀를 오매불망 그리워했다."
마치며...
예전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잘 쓰이지는 않지만 뉴스를 보면 정치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편입니다. 간혹 다소 생소한 사자성어들도 종종 접하는 경우가 있는데요. 전체를 숙지하기는 힘드나 자주 쓰이는 사정성어 정도는 미리 숙지하고 그 뜻과 의미는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.